- divmod
# divmod : 나누기 한 몫과 나머지를 계산하여 튜플로 반환하는 함수
a = 7
b = 3
# i = a // b
# j = a % b
# print(i)
# print(j)
# i,j = divmod(a,b)
# print(i)
# print(j)
r = divmod(a,b)
i,j = r
print(i)
print(j)
# r = divmod(a,b)
# print(r)
# print(type(r))
# print(r[0])
# print(r[1])
- enumerate
# ebumerate : 리스트와 같은 집합 자료형에서
# 데이터와 하나씩 꺼내오면서 인덱스도 필요한 경우에 사용합니다.
data = ['홍길동','김길동','박길동','최길동','이길동']
for i, name in enumerate(data):
print('인덱스',i)
print('이름:',name)
print('_'*50)
# list = list(enumerate(data))
# 각 요소에 인덱스를 붙인 튜플의 리스트를 만들어 줍니다.
# [(0, '홍길동'), (1, '김길동'), (2, '박길동'), (3, '최길동'), (4, '이길동')]
# print(data)
# print(list)
# for name in data:
# print(name)
- enumerate_Test
name = ["홍길동","김길동","이길동","장길동","박길동"]
kor = [80,40,100,90,90]
# 1. 모든학생의 평균을 구합니다.
sum = 0
for k in kor:
sum = sum + k
avg = sum / len(kor)
# print(avg)
# 2. 모든학생의 점수에서 평균을 뺀 거리를 구합니다.
diff = []
for k in kor:
diff.append(abs(k-avg))
# print(diff)
# 3. diff로 부터 가장 큰값을 찾고 가장 큰값이 있는 위치(Index)를 찾아요.
max = diff[0]
idx = 0
for i, d in enumerate(diff):
if d > max:
max = d
idx = i
# for i in range(len(diff)):
# if diff[i] > max:
# max = diff[i]
# idx = i
# print(max)
# print(idx)
# 5. 결과를 출력
print("평균점수와 가장 차이가 큰 학생의 이름 :",name[idx])
- 참고 자료 : Do it! 점프 투 파이썬 https://wikidocs.net/12 -
위키독스
온라인 책을 제작 공유하는 플랫폼 서비스
wikidocs.net
좋아요공감
공유하기
통계
글 요소
'Programing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-5 파이썬 내장함수 06 (0) | 2021.08.17 |
---|---|
5-5 파이썬 내장함수 05 (0) | 2021.08.17 |
5-5 파이썬 내장함수 03 (0) | 2021.08.17 |
5-5 파이썬 내장함수 02 (0) | 2021.08.17 |
5-5 파이썬 내장함수 01 (0) | 2021.08.17 |